신입생
자유전공학부 학생은 1학년 말(11월 중)에 제1전공 및 이중전공을 선택하며, 2학년부터 본격적으로 전공 과목을 이수합니다. 전공선택을 돕기 위해 1학년 기간 동안에는 ‘신입생 세미나’와 ‘전공 탐색 세미나’등을 수강하며, 본인의 적성과 관심 분야를 탐색하고 미래의 학업 계획을 수립합니다.
2학년 진학 시 전공선택 트랙
자유전공학부 학생은 2학년 진학 시에는 다음 두 가지 트랙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전공선택 트랙 (Conventional Major Track)
- 기존에 개설된 학과 중에서 제1전공을 선택합니다.
(예: 국제금융학과, 컴퓨터공학부 등) - 일부 학과를 제외하고, 해당 캠퍼스 내 개설된 대부분의 학과를 전공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자율융합 트랙 (Self-Designed Interdisciplinary Track) (2025학년도 신설)
- 기존 학과(전공) 중에 본인이 희망하는 전공이 없을 경우, 본인의 관심 분야에 맞는 융합전공을 제1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일반융합전공: 융복합소프트웨어전공, 국가리더전공 등
- 학습자설계융합전공: 학생이 직접 설계한 맞춤형 전공
이중전공 및 부전공 선택 안내
- 전공선택이 제한된 일부 학과의 경우, 이중전공 또는 부전공으로는 선택이 가능합니다.
- 다만, 일부 학과는 이중전공 및 부전공 선택이 제한되므로, 반드시 학사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세부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공선택 제도 운영
자유전공학부는 2학년 진학 시 ‘전공선택 트랙’ 또는 ‘자율융합 트랙’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공선택 트랙’의 경우 기존에 개설된 학과 등을 제1전공으로 선택합니다.(예: 국제금융학과, 컴퓨터공학부 등). ‘자율융합 트랙’은 기존 학과(전공) 외에 본인의 관심분야에 맞는 일반융합전공(예: 융복합소프트웨어전공)이나 학습자설계융합전공을 제1전공으로 선택합니다.

전공선택 트랙
해당 캠퍼스 내에서 일부 학과를 제외하고 본인이 희망하는 학과를 전공으로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공선택이 제한된 학과를 이중전공이나 부전공으로 선택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단, 일부 학과는 이중/부전공으로도 선택이 제한되므로 자세한 사항은 학사종합지원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율융합 트랙
기존 학과(전공) 중에 희망하는 전공이 없을 경우, 일반융합전공 또는 학습자설계융합전공을 본인의 제1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유전공학부는 융합 교육 활성화를 위해 2025학년도부터 자율융합 트랙을 신설했습니다. 자율융합 트랙을 통해 융합전공을 제1전공으로 선택하는 경우, 우리 대학의 주력 학문 분야인 외국어/외국학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외국어/외국학 계열의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학습자설계융합전공
학습자설계융합전공이란 학생이 스스로 교과과정을 설계하여 제1전공 또는 이중전공으로 이수하는 자기 주도적 융합전공 제도입니다. 기존에 전공으로 개설되지 않은 새로운 전공을 학생 스스로 설계하고 이수할 수 있으며, 교내 모든 학과(전공), 교양과정 및 국내외 학점인정대학에서 수강 가능한 교과목으로 교육과정 설계가 가능합니다.
일반융합전공과 학습자설계융합전공의 차이
일반융합전공은 BRICs(브릭스)전공, EU(유럽연합)전공 등과 같이 다양한 학문간 융합을 고려하여 학교에서 교과과정을 구성하여 제시하는 교육과정입니다.
예) BRICs(브릭스)전공: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지역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운영되는 교육과정으로 해당 지역 관련 상경계열 또는 언어 교과목으로 구성
한편, 학습자설계융합전공은 기존 학과나 일반융합전공에 없는 새로운 전공을 본인의 희망 진로나 융복합 학문분야에 맞추어 학생이 직접 전공명부터 설계하는 교육과정입니다.
일반융합전공
BRICs전공, EU전공, 동북아외교통상전공, 문화콘텐츠학전공, 국가리더전공, 세계문화예술경영전공, 디지털인문한국학전공, AI융합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 바이오데이터사이언스전공, Business & AI 전공, 융복합소프트웨어전공 등
학습자설계융합전공
지역경제개발협력, 보험계리학 등
전공선택 및 배정
1학년 말(11월 중) 제1전공 및 이중전공을 선택하여 2학년 때부터 전공 과목을 이수하게 됩니다. 전공선택을 위해 1학년 때에는 ‘신입생세미나’, ‘전공탐색세미나’ 등의 강좌를 수강하며 본인의 적성을 탐색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준비를 합니다.
가. 전공신청 : 2학년 진급 시(2개 학기 완료 후)부터 신청가능 (1학기 5월 2~3주차 / 2학기 11월 2~3주차)
나. 전공배정 : 1학기 7월 말 / 2학기 1월 말 확정
주의사항
- 1전공 배정의 경우 배정이 완료된 이후 변경이 불가합니다.
- 학습자설계융합전공을 1전공으로 신청하는 시기 및 절차는 교육혁신원 > 전공설계지원센터 > 학습자설계융합전공 가이드북 안내 참조
전공선택 후 소속
학과(전공)를 선택한 이후에는 해당 학과로 소속이 변경되어 졸업합니다. 단, 자율융합 트랙을 선택한 학생들은 자유전공학부 소속으로 남고, ‘자유전공학부 OO전공(이수한 융합전공명)’으로 졸업합니다.
융합전공 선택과 설계
자율융합 트랙으로 일반융합전공이나 학습자설계융합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전공설계지원센터에서 전공선택과 설계 과정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HUFSAbility 사이트를 통해 캠퍼스별로 상담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 전공설계지원센터(https://iei.hufs.ac.kr / caa@hufs.ac.kr)
- 상담예약: HUFSAbility(https://hufsability.hufs.ac.kr) 로그인 후 상담 신청
- 서울캠퍼스 대학본부 303호 (02-2173-3972, 2248)
일반융합전공, 학습자설계융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아래의 홈페이지 메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융합전공
www.hufs.ac.kr → 대학/대학원 → 융합전공
학습자설계융합전공
www.hufs.ac.kr → 대학/대학원 → 융합전공 → 학습자설계융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www.hufs.ac.kr → 학사정보 → 교육과정 → 마이크로디그리